데브코스
컴파일 언어 이해하기
hxx_1
2024. 10. 24. 16:56
프로그래밍의 개념
: 개발자가 소프트웨어를 개발하는 과정
1️⃣설계
- 머리속으로 구상한 것을 기록하는 것
- 요리의 레시피를 만드는 작업
2️⃣원시코드 작성
- 머리속으로 구상한 것을 기록하는 것
- 요리의 레시피대로 요리하는 과정
3️⃣컴파일
- 원시코드는 사람이 이해하는 언어이지 컴퓨터 언어가 아님.
- 컴파일은 소스코드를 이진코드로 변환하는 과정, 즉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는 언어로 변환
4️⃣링크
- 실행 파일을 만드는 과정
변수란?
: 변경이 가능한 수
: 우리가 사용할 메모리 공간에 이름을 부여한 것
: 친구의 집을 집 주소로 기억하지 않고, 철수네로 기억하는 원리
원시 타입 변수 생성
int a = 10;
int b = 10;
➡️ 원시 타입의 데이터 값은 콜스택에 저장되고, 데이터 값이 저장된 콜스택의 주소값은 변수 a,b 에 각각 저장된다.
메모리 영역
- 코드 영역: 실행 명령어들 저장
- 스택 영역: 지역변수 및 매개변수 저장
- 힙 영역: 프로그래머가 직접 할당
- 데이터 영역: 전역 변수, static 변수 저장
자료형이란?
: 선언한 변수가 얼만큼의 메모리 공간을 할당할 것인지 결정
: 음식의 종류에 따라 그릇의 용도가 다른 것과 같은 원리
기본 자료형의 종류 및 표현 범위
- 정수형: char(1바이트) , short (2바이트) , int(4바이트), long(4바이트)
- 실수형: float(4바이트), double(8바이트), long double(10-16바이트)
➡️ 효율적인 메모리 공간을 활용하기 위해서 다양한 자료형을 제공한다.
상수란?
: 변하지 않는 수
: 메모리 공간에 수가 존재하지만 그 값을 변경할 수 없다.
: const 기호 사용
⚠️ 선언과 동시에 초기화 해야한다.
const int TEN = 10;
🌟 배운 점
오늘은 가장 기본적인 컴파일 언어인 C언어를 배웠다. 대학교 1학년 때 처음 접했던 기억이 새록새록 떠올랐다. 이번 학습을 통해 프로그래밍 언어가 기본적으로 어떻게 동작하는지, 그리고 변수가 어떻게 저장되어 우리가 이를 사용할 수 있게 되는지에 대해 이해할 수 있어 유익한 시간이었다. 그동안 코딩을 하면서 원리를 깊게 생각하지 않았던 것 같은데, 앞으로는 항상 "왜?"라는 질문을 던지며 동작 원리를 고민해야겠다고 느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