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in/www
: 포트 번호 등과 같은 웹 서버를 구축하는 데에 필요한 설정 데이터가 정의되어 있는 파일
=> .env 파일과 같이 설정 값을 가지고 에러 처리, 기타 추가 설정을 해주는 파일
node_modules
: Node.js , Express 에 필요한 모듈들이 설치되는 폴더
public
: images, javascripts , stylesheets => 정적 (ex. 로고, 회사 소개 페이지 ...) 파일
cf . 동적: 사람마다 다른 데이터
routes
: 각 경로를 담당하는 모듈들이 들어 있는 폴더 = 라우팅 로직을 구현하는 모듈들
클라이언트에서 어떤 요청을 주냐에 따라서 어떤 로직을 수행할지 파일 별로 분할해서 관리하는 정도
(cf. 자바의 controller 역할)
views
: 클라이언트에게 html 코드로 "화면을 보내는 파일"
app.js
: Express 서버의 시작점 => URL 에 따라 라우팅을 해준다.
package.json
:이 프로젝트에 설치된 모듈 이름, 버전 등등 정보들이 작성되어 있는 파일
🌟 배운 점
이전에 express-generator 를 잠깐 배운 적이 있었는데, 오늘은 그 안의 파일들이 어떤 역할을 하는지 설명을 들었다. 그리고 저번에 설계한 도서 판매 쇼핑몰 구현을 시작했다. 아직까지는 저번에 만들었던 유튜버 프로젝트와 똑같고, 틀만 잡아 놓았기 때문에 어려운 점은 없었다. 저번 프로젝트에서 열심히 따라하면서 공부했으니 이번 프로젝트에서는 인강을 보기 전에 혼자 해보고 인강을 들으며 틀린 부분을 고치는 식으로 공부를 해봐야겠다.
'데브코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바스크립트 (2) | 2024.10.21 |
---|---|
랜덤 데이터 생성 API (2) | 2024.10.20 |
JWT (6) | 2024.09.25 |
유효성 검사 (1) | 2024.09.24 |
데이터베이스 연동하기 (0) | 2024.09.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