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Tags
- 웹
- 백준1654번js
- npm
- 깃
- 자바스크립트
- js
- 프로그래머스
- 변수
- 깃허브
- 좋아요추가
- 백준13549번js
- API
- var와let과const차이
- 파이프라인
- CS
- Node.js
- 객체
- 백준13549번
- 브랜치
- 예외처리
- 자바
- 컴퓨터공학
- gui
- Express
- 데이터베이스
- 리액트
- post
- 리팩토링
- 오픈소스
- 타입스크립트
Archives
- Today
- Total
Nevertheless
IaC 와 테라폼 본문
구성 관리
- 구성은 의존성 때문에 코드에 못지 않게 소프트웨어 시스템에 큰 영향을 미침
- 따라서 구성 관리는 잦은 빌드, 통합, 릴리스로 이루어지는 CI/CD 에 중요한 측면
- 이를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자동화할 수 있는 여러 종류의 도구가 만들어지고 이용되어 왔음
IaC(Infrastructure as Code)
- 인프라스트럭쳐 (소프트웨어가 의도된 목적을 활용하기 위하여 이용하는 환경 구성) 를 생성, 변경, 관리
- 수작업에 의하는 것보다 안정성, 일관성, 재현 가능성을 향상 시킬 수 있음
- 버전 관리, 재사용, 공유 등에 유리
- 레시피만 있으면 누가 요리해도 같은 맛이 나오듯이 IaC는 인프라 구축 "레시피" 를 코드로 작성하는 것
수동으로 서버 만들기 vs IaC로 만들기
수동으로 할 때:
- AWS 접속하기
- 서버 만들기 버튼 클릭
- CPU, 메모리 선택
- 보안 설정하기
- 네트워크 설정하기
IaC로 할 때:
- 모든 설정을 코드로 한 번 작성해두면
- 다음에는 코드만 실행하면 끝
- 마치 요리 레시피처럼 누가 해도 똑같은 결과가 나온다.
테라폼(Terraform)
: Hashicorp 사에서 제공하는 IaC 도구
: 클릭 몇 번으로 서버를 만들 수 있는 AWS 나 Google Cloud 같은 클라우드 서비스의 이런 클릭 작업을 자동화 해주는 도구
실생활 비유
- 레고 블록을 조립할 때 설명서를 보고 따라하듯이
- 테라폼은 "이런 서버 만들고, 저런 네트워크 연결하고"라는 설명서를 코드로 작성하면
- 그대로 클라우드에 자동으로 만들어준다.
장점
실수 방지
- 일일이 클릭하다 실수할 일이 없다.
- 한번 작성한 코드는 계속 재사용할 수 있다.
시간 절약
- 100대의 서버를 만들어야 한다면?
- 클릭으로 하면 100번 클릭해야 하지만
- 테라폼으로는 코드 한 줄로 가능하다.
🌟 배운 점
오늘은 IaC와 테라폼에 대해서 배웠다. 먼저 IaC에 대해 요약하자면, 이는 인프라 구축 과정을 코드로 작성하는 방식이다. 마치 요리 레시피처럼 인프라 구축 과정을 문서화하여 사람의 수동 작업 대신 자동화된 방식으로 인프라를 관리할 수 있다. 테라폼은 이러한 IaC를 실현하는 대표적인 도구이다. AWS, Google Cloud 등 클라우드 서비스의 인프라를 코드로 관리하고 클릭 대신 코드로 서버, 네트워크 등을 자동 구축한다. 나는 오늘 수업을 통해 이 둘을 처음 알게 되었는데, 내가 직접 사용해본 적은 없지만 잘 사용한다면 정말 편리할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데브코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MDN Web Docs 기여 실습 (0) | 2024.12.10 |
---|---|
오픈 소스(open source) (2) | 2024.12.09 |
인수테스트 자동화 (1) | 2024.12.06 |
젠킨스(Jenkins) (0) | 2024.12.06 |
쿠버네티스(Kubernetes) (4) | 2024.12.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