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데브코스

오픈 소스(Open Source)

오픈 소스(Open Source)란?

: "누구나 특별한 제한 없이" 공개 되어 있는 소스 코드

+ 검사(리뷰), 수정 등 개선 사항을 마음껏 펼칠 수 있는 소스 코드 != 무료

cf. Pro: 유료 결제

 

장점

: with 다른 개발자의 시선: 아이디어, 버그, 업그레이드

 

ex) Node.js, 리액트, Apache, Bootstrap ... 

 

오픈 소스 라이선스란?

: 오픈 소스로 배포/ 준비/ 공개된 소스 코드를 사용할 때 지켜야 하는 규칙 등을 명시하는 것

 

ex) 리액트의 is licensed under the MIT License

Apache Tomcat under the Apache license version 2

 

Q1. 라이선스에 적힌 조건(제한 사항 X, 추가 사항)을 이행하지 않으면 어떤 일이 벌어지나?

Q2. 라이선스 표기가 되어 있지 않은 public 소스 코드를 임의로 사용하면? 

💥 저작권 침해 💥 

 

필요한 이유

: 오픈 소스라고 명시하기 위함

: 사용 / 배포 할 때 조건(출처, 사용법..) 을 지켜달라고 하기 위함 

 

종류

- GPL

: GNU General Public License

: 강력한 조항

: 어떤 목적으로 어떤 형태로든 다~ 사용할 수 있지만, 사용/배포 하는 경우엔 무조건 "공개" 해야하는 강력한 조항

ex) Firefox, Linux, Git, MariaDB, Wordpress

 

- MIT

: 라이선스 이름, 명시 => 인기가 많다.

ex) bootstrap, react, angular, jQuery ... 

 

- Apache 

: license.txt

: 소스 코드에 대한 공개 의무 등 의무 사항 x

: 아파치 라이센스, 버전 2.0, 저작권, copyright => 소스코드 or notice.txt / copyright.txt

ex) 안드로이드 

 

- BSD 

: Berkeley Software Distribution

: 라이선스 및 저작권 표시 조건 => 인기가 많다.

 

✨ 이미 시중에 오픈된 소스를 참고해서 쓰면 된다. 

 

표기법

chrome 의 경우

 

  • 오픈 소스명
  • 공식 홈페이지 주소(링크)
  • 라이센스 종류/이름
  • 라이센스 전문 (공식 내용, 문서)

🌟 배운 점

오픈 소스에 대해 새롭게 알게 되었다. 나는 이전에 오픈 소스라고 하면, 모든 소스 코드가 무료인줄 알았는데 그게 아니고 오픈 소스에도 사용하는데 지켜야 할 규칙이 있다는 것을 처음 알게 되었다. 나중에 오픈 소스를 사용하게 된다면, 꼭 규칙을 잘 지켜서 문제를 일으키지 않도록 조심해야겠다고 느꼈다. 그리고 나도 사람들이 사용할 수 있는 오픈 소스를 만들어보면 좋은 경험이 될 것 같다는 생각도 들었다. 

'데브코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컨트리뷰션(Contribution)  (0) 2024.11.28
오픈 소스 문서 구조  (1) 2024.11.27
[react-beautiful-dnd] drag and drop 구현  (0) 2024.11.07
리액트(3)  (1) 2024.11.01
리액트(2)  (0) 2024.10.31